용인시 향토유적 제32호
용인 향토유적 제32호로 지정된 이애. 경신 공주묘는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 산 40-11에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지도를 보니 신원 저수지 뒷편으로 표시가 되어 있어서 찾아갈 수 있을까 걱정을 하면서 가보았습니다. 마을에 도착하니 표지판이 안내를 하고 있어서 생각보다는 찾기는 쉬웠습니다.

11월 20일 가을은 무르익어 가고 있고 날씨는 포근하네요. 다만 따로 주차장이 없어서 그냥 주변에 차량을 주차시켜야 될 것 같아요.. 갈라지는 길에서 왼쪽으로 가다 보니 외부인 출입금지라고 표시가 되어 있고 업무상 출입 시 연락을 달라고 되어 있는데 에버랜드 총무 그룹장이라고 표시가 되어 있네요.

그래서 차량을 주차하고 그냥 걸어서 길따라 올라가니 다시 표시판이 보입니다.


신원저수지가 보이는데 이곳에서 직진을 하면 산으로 올라가는 길이고 저수지 오른쪽인 둑을 건너 저수지 오른쪽 방향으로 올라가면 됩니다.


저수지 주변 풍경이 아름답네요. 그리고 오솔길이 이어져 있습니다. 가을이라 그런지는 몰라도 걸어가는데 전혀 문제가 될 만한 것이 없고 다만 낙엽으로 미끄러지는 것만 조심하면 될 것 같습니다.


둑길이는 약 80m이고 이곳에서 250m를 직진하면 됩니다.


길을 가면서 자연 숲을 그대로 느낄 수 있으며 인쪽에는 저수지의 물과 함께 멋진 풍경을 만들어 내는 것 같습니다.


가는 길은 언덕이 있는 것도 없고 거의 평지로 이어져 있으니 아이들도 쉽게 걸어갈수 있을 것 같네요.

이런 좋은 풍경 속에 공주의 묘가 있다는 것이 신기할 나름입니다.


이애.경신공주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면
이애는 조선 초기 문신으로 초명은 저, 봉관은 청주이며, 청허당 거이의 아들이라고 합니다. 조선 정종 2년(1400) 이방원의 세자 책봉에 힘썼으며 그 이듬해 태종을 도와 박포의 난을 평정하고 정사좌명공신 1등이 되었습니다.

태조의 8남 5년 중 맏딸인 경신공주와 혼인하여 상당부원군에 진봉 되었습니다. 묘소는 방형쌍분으로 좌측에 있는 이애 묘는 봉분 하단까지 3단의 방형지대석이 놓여 있습니다.

우측의 경신공주 묘 역시 규모나 형태가 동일합니다. 묘 앞의 각기 세워진 2기의 묘 비석은 한식기와집 맞배지붕을 연상케 하는 소력화된 양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앞에는 상석.향로석이 각기 놓여 있고, 중앙에는 장명등, 좌우에는 문인석. 무인석 등의 호석이 각각 배치되어 있습니다. 봉분 앞에 놓인 상석을 제외하고는 모두 조선 초기의 원형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고 합니다.








신원 저수지 모습입니다. 이곳은 수심이 깊고 수온이 낮아 익명사고 위험이 많은 곳으로 접근과 수영 등의 행위를 금지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또한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농업기반시설물로 관리가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쓰레기 및 오물투기를 하면 안되며 제방 붕괴 행위, 세차행위 및 기타 시설보호 및 안전에 위해한 행위 등이 금지된다고 표시되어 있네요.

오늘은 집에오는 길에 잠시 이애. 경신 공주 묘를 돌아보았는데요. 용인시에 살면서 향토문화를 살펴보는 좋은 기회가 된 것 같네요.
2021.11.15 - [여행.맛집/향토유적&문화제] - 정윤복.정호선 묘 및 신도비
정윤복.정호선 묘 및 신도비
용인시 향토유적 제47호 신도비는 용인시 포곡읍 전대리 416-1번지에 신도비가 있으며, 묘는 포곡읍 전대리 442-1번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묘와 신도비 거리는 직선거리로 450m 정도이며 도로를
vvvvvv.tistory.com
'여행.맛집 > 향토유적&문화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인 맹리 고인돌(지석묘) (0) | 2021.11.23 |
---|---|
안몽윤 묘역 (0) | 2021.11.21 |
정윤복.정호선 묘 및 신도비 (0) | 2021.11.15 |
용인 운학동 돌방무덤 (0) | 2021.11.15 |
정한영 효자비각 (0) | 2021.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