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묘6 이애.경신 공주묘 와 신원 저수지 향토유적 1호 용인향교 향토유적 3호 오달제 선생 묘 및 대낭장비 향토유적 5호 남구만 선생 묘 향토유적 18호 연안부부인 전씨묘소 향토유적 21호 이일 장군 묘 향토유적 32호 이애.경신 공주묘 향토유적 34호 오희문 묘 향토유적 37호 홍계희 묘 향토유적 42호 운학동 돌무지 향토유적 43호 이애.경신 공주묘 향토유적 47호 이애.경신 공주묘 향토유적 52호 마북동 석불입상 및 석탑 향토유적 63호 이사위 묘 향토유적 69호 안몽윤 묘역 용인시 향토유적 제32호 용인 향토유적 제32호로 지정된 이애. 경신 공주묘는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 산 40-11에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지도를 보니 신원 저수지 뒷편으로 표시가 되어 있어서 찾아갈 수 있을까 걱정을 하면서 가보았습니다. 마을에 도착하니 표지판.. 2021. 11. 20. 이석형 묘 및 신도비 경기도 지방문화제 제171호 모현에 아시는 분과 약속이 있어서 능원리에 왔다가 근처에 있는 이석형 선생 묘를 가 보았습니다. 이석형 선생 묘와 신도비는 경기도 용인시 모현읍 능원리 산 31번지에 위치하고 있답니다. 신도비는 인조 2년(1624)에 세웠다고 합니다. 좌의정 월사 이정구가 비문을 짓고 선조의 사위 신익성이 글씨를 썼으며, 우의정 김삼용이 전서로 전액을 썼다고 합니다. 신도비는 원래 묘 바로 아래에 있었으나 현재는 이곳 연안이 씨 비각 공원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었습니다. 이석형(1415~1477) 선생은 조선조 때 명재상이며 본관은 연안으로, 대호군 중 좌의정 회림의 아들로 자는 백옥, 호는 저헌, 시호는 문강이라고 합니다. 세종 23년 진사, 생원, 문과에 연달아 3 장원하여 사간원정언을 시.. 2021. 11. 13. 오윤겸 선생 묘 경기도 기념물 제104호 오윤겸 선생 묘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 산 5번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조선 선조. 광해군. 인조 대에 여러 관직을 역임한 오윤겸은 해주 오 씨로 성혼의 문인입니다. 선조 22년(1589) 문과에 급제하여 영릉참봉.봉선전참봉 등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 때에는 정철의 종사관으로 활약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광해군 9년(1617)에는 통신사로 일본에 가 임진왜란 때 잡혀갔던 150명의 포로를 데려왔고, 그것을 계기로 일본과의 국교를 정상화시키는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기도 하였습니다. 인조반정 후 대사헌에 임명되었고 이어 이조. 형조. 예조의 판서를 역임하였습니다. 인조 2년(1624) 이괄의 난 때에는 왕을 모시고 공주까지 내렸으며 인조 6년 영의정에 올랐습니다. 이.. 2021. 11. 8. 민영환 선생 묘 경기도 기념물 제18호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 544-4 번지에 위치한 민영환 선생 묘를 다녀왔습니다. 구성초등학교 뒷편에 있으며 안내표시가 잘 되어 있어 찾아가는 것은 쉬운 편입니다. 우리 주변에 문화유적이 이렇게 있어도 관심이 없다면 있는지도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방문 당시 비교적 많은 사람들이 다니는 것을 보았는데 묘지 왼쪽으로 등산로가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민영환 선생묘는 경기도 기념물 제18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민영환 선생 묘는 대한제국기 문신인 민영환(1861~1905)의 묘소입니다. 민영환은 1878년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습니다. 특히 외교관으로서 서양의 여러 국가들을 방문하여 근대적인 문물제도를 배웠습니다. 이후 독립협회를 적극 지원하면서 개혁.. 2021. 11. 6. 포은 정몽주 선생 묘 경기도 지방문화제 제1호 정몽주 선생 묘는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 산 3번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고려 말의 충신이며 동방이학지조로 추앙된 포은 정몽주(1337~1392) 선생의 묘소입니다. 선생의 자는 달가, 호는 포은, 시호는 문충이며, 본관은 영일로 정운관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공민왕 9년(1360) 과거에 연 삼장 장원급제하여 벼슬이 예문관검결부터 예조 정랑, 대사성문하찬성사 등 벽상삼한삼중대광수문하시중까지 오르고 안산공신의 훈호를 받았습니다. 오부학당을 세워 후진을 양성하고 향교를 세워 유학을 진흥하여 우리나라 성리학의 기초를 세웠습니다. 또한 당시 부패된 관료들의 사전제도를 혁파하고 의창을 세워 빈민을 구제하고 수참을 두어 조운에 힘썼으며, 조전원수로 함경도, 전라도 지방을 침범.. 2021. 10. 31. 남구만 선생 묘 용인시 향토유적 제5호 남구만 선생 묘는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초부리 산 1-5에 위치하고 있답니다. 남구만의 묘소는 본래 양주의 불암산 화접동에 초장 되었다가 뒤에 모현읍 초부리 하부곡 마을에 이장을 한 것이라고 합니다. 당시의 봉분은 원형이었으나, 1970년대 후반 후손들이 묘역을 확장하면서 방형의 지대석 기단을 둘러 봉토했습니다. 정경부인 동래 정 씨와 합장한 묘소 앞에는 본래의 석물인 묘표와 망주석, 향로석 등이 배열되었습니다. 장명등, 상석,혼유석 등은 새로 설치한 것입니다. 묘표에는 음기가 없으며, 비신이 방형의 대석 위에 세워져 있습니다. 대석 정명에는 10판의 운문판이 새겨져 있으며, 하단 각 면에는 6판의 당초문판이, 중앙과 각 모퉁이에는 동자주가 새겨져 있습니다. 가첨석 상단에는 좌우로.. 2021. 10.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