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향교3 양지향교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3호 양지 향교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향교로 13번길 20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말을 타고 지나는 사람은 누구든지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하마비가 향교 앞에 왼쪽에 자리 잡고 있네요. 그리고 붉은 칠을 한 홍살문이 있습니다. 방문당시 문이 닫혀 있어 내부를 들어가 볼 수는 없었으나 외부에서도 충분하게 볼 수 있었습니다. 양지향교는 중종 18년(1523)에 건립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숙종 23년(1697)에 대성전이 다시 고쳐졌고 정조 16년(1792)에 명륜당이 다시 건립되었다고 합니다. 근래에는 1927년과 1967년에 다시 고쳐졌고 1971년에는 명륜당이 복원되었으며 1981년과 1986년에도 수리를 하였다고 합니다. 이 향교는 경사진 대지 아래쪽 터에 명륜당이, 위쪽에는.. 2021. 11. 26. 수원 향교 용인 향교에 다녀와서 생각난 것이 바로 수원향교입니다. 그래서 기존에 가본 것을 오늘 올려 봅니다. 수원 향교는 수원시 팔달구 향교로 137번길 43에 위치하고 있으며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호로 되어 있답니다. 그때는 몰랐는데 수원향교가 경기도 문화재자료 1호라는 것을 알고 다시 한번 알아보고 싶어 졌네요. 향교는 조선시대 지방에 설치된 국립 교육기관입니다. 수원향교는 원래 경기도 화성시 봉담면 와우리에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1789년(정조 13) 수원읍치가 지금의 수원시로 이전되면서 팔달산 남쪽 기슭에 자리 잡게 되었으며 여러 번의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합니다. 향교 입구에는 하마비와 홍살문을 세워 향교의 권위를 과시하였습니다. 건물 배치는 향교의 가장 전형적인 전학 후 묘 형식으로 되.. 2021. 11. 6. 용인 향교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18호 용인향교에 다녀왔습니다. 용인향교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용인향교로 12-6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용인 향토유적을 알아보다가 향토유적 1호가 용인 향교라는 말을 듣고 방문하였는데요. 현재는 경기도의 문화재자료 제188호로 지정되어 있었습니다. 향교는 조선 시대에 각 고을마다 유학을 교육하고 유교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입니다. 각 고을의 중심지에는 관아, 사직단, 향교를 설치하여 고을의 기본 틀을 만들고 질서를 바로 잡았다고 합니다. 용인향교는 용인현의 중심지인 구성에 건립되었으며 법화산에서 서쪽으로 뻗은 능선 말단부에 서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가장 높은 곳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위치하고 내삼문을 두어 신성한 곳으로 구분하였습니다. 그 아래.. 2021. 11. 6. 이전 1 다음 반응형